본문 바로가기

교과서가 알려주지 않는 과학 이야기

사이토카인 폭풍이 뭐길래? 건강한 고교생도 죽는가?

반응형

 

안녕하세요. 복잡한 요즘 교육에 대해서

알려주는

"영재아빠" 입니다.

 

오늘은 융합 시사 상식에 대해 글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주제는 사이토카인 폭풍입니다.

 

사이토카인 폭풍이 뭔지 몰라도

318일에 사망한 대구 17세 고교생의 사망원인이

사이토카인 폭풍 때문이라고 보도된 기사를 보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면 사이토카인 폭풍이 무엇이길래 기저질환이

없는, 매우 건강한 고등학생을 사망하도록 만든

것일까요?

 

우리 몸에는 면역 체계가 있고 이것이 우리 도처에

널려있는 병원균들로부터 우리를 보호해 준다는

것은 대부분 사람이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면역체계는 어떻게 작동하여 우리를

병원체로부터 보호해주는 것일까요?

 

 

우리의 면역 체계를 쉽게 말하면 1차 방어군과 2차

방어군에 비유하여 말할 수 있습니다.

 

1차 방어군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병원체들을

직접적으로 막아내는 역할을 하는 피부와 신체

기관들에 해당합니다.

 

예를 틀면 콧속의 코털이나 점막이 병원균을 막는

것과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이 병원균을 죽이는

것들이 1차 방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2차 방어군은 이런 1차 방어를 뚫고 몸속 깊숙이

들어온 병원체들을 해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대식세포와 림프구들이 이런 역을 하는데

대식세포는 단순히 외부로 침입한 병원균이나

내부에서 생겨난 노폐물을 먹어 치우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림프구는 다시 T세포와 B세포로 나뉩니다.

T세포는 대식세포처럼 병원균을 직접 공격하는데 이

과정에서 B세포에 신호를 보내 항체를 만들도록

합니다.

그림 저작권자: Mikael Häggström and A. Rad

 

, B세포는 병원균의 특성에 따라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항체를 만들어서 T 세포나

대식세포들이 병원균을 쉽게 잡아먹을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우리가 한번 걸렸던 병에 “면역”이라는 것이 생기는

것은 이 B세포 때문입니다. B세포가 처음 들어온

병원체에 대해서 항체를 만드는 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하지만 B세포는 한번 들어왔던 외부 병원균(항원)에

대한 정보를 기억합니다. 그래서 다음에 같은

병원균이 들어오면 처음보다 더 빠른 속도로 항체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한번 걸렸던 병은 다시 걸리지

않거나 걸리더라도 약한 증상만 나타나게 됩니다.

 

우리가 보통 맞는 예방주사도 이 원리를 이용하여

미리 약해진 병원균을 집어넣어 B세포가 이를

기억하게 만들고 빠른 항체 생성이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글을 지금까지 읽으셨으면 아니 사이토카인 폭풍이

이거랑 뭔 상관이야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면역에 대한 이야기를 길게 한 것은 사이토카인

폭풍은 면역과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외부에서 침투한 병원균에 대항하기 위해 작동하는

면역작용이 지나치게 많이 이루어져 정상적인

활동을 해야 하는 우리 세포와 신체 기관까지

공격하는 현상입니다.

 

위에서 말한 우리를 지켜주어야 하는 면역 체계가

도리어 우리를 공격하게 되는 것입니다.

 

면역 물질인 사이토카인의 과다 분비로 정상 세포의

DNA가 변형되면서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나기

때문에 사이토카인 폭풍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그러면 이런 사이토카인 폭풍을 예방하거나 피하는

방법은 없는 것인지 궁금하실 것입니다.

 

김우주 고려대학교 감염내과 교수의 말을 인용하면

“사이토카인 폭풍 자체를 치료하는 특효약은 없다.”

라고 합니다.

 

따라서 지금과 같은 이런 신종 질환들이 유행할

때는 젊다고 자만할 때가 아니라 신종 감염병에

한없이 겸손해지고 병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에

힘써야 하겠습니다.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합니다.

글을 작성하는 데 많은 힘이 됩니다.

 

혹시라도 궁금한 주제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다음 포스트 작성에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