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재교육/유아초등

수학 학습에 필요한 수 개념! 두 돌부터 키워라!

반응형

안녕하세요. 복잡한 요즘 교육에 대해서

알려주는

"영재아빠" 입니다. 

 

수학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수학은 아이의 학습에 매우 중요합니다.

 

수학이 중요한 이유는 단순히 교과적인 의미를

떠나서 그것이 사물의 이치를 깨치게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수학이 중요하지만, 아이들도 그렇고

부모 세대들 그리고 조부모 세대들조차 수학이

쉬웠다고 말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우리가 수학학습을 어렵게 하였던 것은 수학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갖추어야 하는 올바른

수 개념을 가지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올바른 수 개념을 갖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수 개념이라 하는 것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것을 분류하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따라서 아이가 세상에 태어나고 자기 자신을

낳아준 부모님을 알아보고 부모가 아닌 사람과

구분할 수 있게 된 시점부터 수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하게 됩니다.

 

이런 능력은 아이들이 두 돌 정도 되면서 많은

발달을 이루게 되는데요.

 

이 시기부터 본격적인 수 개념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됩니다.

 

이 시기부터 아이에게 수 개념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말씀드릴 5가지를 기억하시고

실천하기를 권장합니다.

 

 

 

1. 크기의 비교로 시작한다.

출처 - https://www.flickr.com/photos/antdude3001/

 

보통 이 시기에는 주 양육자와의 애착 관계가

 잘 형성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런 부분은

이용하여 주 양육자와 아이 중 누가 더 큰지

비교해보고, 그림자놀이 같은 것을 통해 크기

비교를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크다”/“작다이었다면 시간이

 좀 흐른 후에는 무겁다가볍다”, “많다

적다등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용어 그 자체보다는 쓰임을 알게 한다.

 

아이들에게 수와 관련된 개념을 알려줄 때 용어에

 집착하는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는 아이의 수 개념 형성에 역효과를 불러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용어 그 자체보다는 쓰임을 더 강조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네모를 가르쳐 주실 때는

우리 집 창문도 네모, 바닥 놀이 매트도 네모네

라는 식으로 알려주셔야 합니다.

 

출처 - https://www.flickr.com/photos/opengridscheduler/

 

이렇게 해주시면 네모라는 용어가 기억나지

않더라도 그 모양과 특징이 머릿속에 각인되므로

더 효과적으로 수 개념을 익히게 할 수 있습니다.

 

 

 

3. 숫자에 집착하지 않는다.

 

아이에게 수 개념을 학습시키려는 부모들을 보면

숫자에 집착하는 경우가 대단히 많습니다.

 

출처 - https://www.flickr.com/photos/maaloe/

 

하지만 유아의 경우 진행하는 대부분의 활동을

놀이로 인식하기 때문에 특정 내용을 주입해

넣으려는 것에 거부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숫자에 너무 집착하기보다는 대소 관계나

 도형에서 모양의 차이를 인식하게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예를 들면 아이가 좋아하는 꼬마 곰 젤리 같은

간식을 줄 때 젤리를 일부러 수가 다르게 나누어

놓고 어느 쪽 젤리를 먹을래?”라고 물어봐

주시시거나 여러 가지 모양 끼우기를 하면서

들어가지 않는 도형은 왜 들어가지 않을지를

물어봐 주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4. 직접 해보되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한국 사람들이 가장 못 하는 것이 도형입니다.

그 이유는 평면도형에서의 접힌 면이나

입체도형에서의 잘린 면과 같은 것을 한 번도

제대로 본 적이 없는데 이런 것을 생각하라는

문제가 많이 등장하기 때문입니다.

 

출처 - https://www.flickr.com/photos/pedrosimoes7/

 

따라서 이런 부분에서는 색종이를 이용하여

접어서 그 부분을 확인하게 하거나 스티로폼

혹은 자를 수 있는 채소들을 이용하여 실제로

잘라보고 그 부분을 관찰하되 어떤 특징이 있는지

 설명하지 말고 발문을 통해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수학적 재능을 보인다면 활동을 더 진행한다.

 

이는 수월성 교육과 연결됩니다. 아이가 다른

아이들에 비해서 수학적으로 더 재능 있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 것들을 넘어

 해당 나이대의 발달 단계를 크게 넘어선다면

그에 맞는 놀이를 진행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이때 부모의 욕심이 앞서서 아이가 보이는

관심과 흥미를 넘어서는 활동을 해준다면 아이는

 흥미를 잃기 때문에 아이가 관심을 보이는 선까지

해주는 것을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이 활동에서 준비해주면 좋은 장난감은

퍼즐(직소 퍼즐, 입체 퍼즐)이나 시장 놀이가

있습니다.

퍼즐의 경우 조각의 수나 모양을 바꾸어가며

제공할 수 있으며 시장 놀이는 물건의 가격과

거스름돈의 개념을 사용하여 수의 개념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물건의 가격을

아이가 셀 수 있는 수의 범위 내에서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눌러주시고

혹시라도 궁금한 주제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다음 포스트 작성에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